생활법률

2. 프리랜서 계약서, 근로계약과 뭐가 다를까? 놓치기 쉬운 핵심 조건

adseoheewb12 2025. 6. 27. 20:01

 

 

프리랜서 계약서, 근로계약과 뭐가 다를까? 놓치기 쉬운 핵심 조건

 

 


✅ 서론: ‘계약서가 있으니 문제없다’고요?

일을 시작하기 전에 계약서를 작성했다면 안심이 될까요?
하지만 프리랜서 계약과 근로계약은 작성 목적부터 보호법까지 완전히 다릅니다.
표면적으로는 계약서를 썼어도, 그 안의 내용이 불리하게 작성되어 있다면 문제가 생겼을 때 보호받기 어렵습니다.

이번 글에서는 프리랜서 계약서와 근로계약서의 차이를 조목조목 짚어보며,
실제로 놓치기 쉬운 핵심 항목들과 작성 시 주의사항까지 총정리해 보겠습니다.


✅ 프리랜서 계약서 vs 근로계약서, 법적 관점은 다르다

 항목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프리랜서 계약서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근로계약서
법적 기준 민법 (위임계약 등) 근로기준법
소득 분류 사업소득 (3.3%) 근로소득
보호 대상 거의 없음 퇴직금, 연차, 휴게시간 등 법적 보호
4대보험 가입 의무 없음 사업주가 의무 가입
 

📌 즉, 계약서라는 형식보다 더 중요한 건 ‘내용’과 ‘관계성’입니다.


✅ 프리랜서 계약서에서 빠지기 쉬운 5가지 핵심 항목

프리랜서 계약서는 대부분 회사 중심으로 작성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
이 때문에 아래와 같은 내용이 빠져 있거나 불리하게 적혀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.

  1. 업무 범위가 불분명
    → “기타 회사가 지시하는 업무” 등으로 포괄적 기재 시 위험
  2. 대금 지급일이 명확하지 않음
    → '프로젝트 완료 후 지급'으로만 적힌 경우, 지연 가능성 존재
  3. 계약 해지 시 위약금/환불 조항 부재
    → 중도 해지 시 아무런 보상도 못 받는 경우 발생
  4. 저작권 귀속 문제 불분명
    → 결과물에 대한 권리가 누구에게 있는지 명시 필요
  5. 비밀유지조항 과도 삽입
    → 계약 종료 후에도 과도한 제한이 있는지 확인

✅ 근로계약서에서 꼭 포함돼야 할 항목 (근로기준법 제17조)

근로계약서는 법적으로 다음 항목들을 서면으로 명시해야 합니다.

  • 근로조건 (임금, 근무시간, 휴일, 휴가, 퇴직 등)
  • 임금의 구성, 계산 방법, 지급 방법
  • 근로시간, 휴게, 휴일에 관한 사항
  • 연차휴가 사용 기준
  • 4대 보험 가입 여부

📌 서면으로 교부되지 않으면 사업주가 과태료 처분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
✅ 계약서 작성 시 ‘절대 확인해야 할 5가지’

프리랜서든 근로자든, 계약서에서 이건 꼭 확인해야 합니다.

  1. 지급 기준과 기한 명시
    → ‘매월 xx일’, ‘작업 완료 후 7일 이내’ 등 구체적으로 적기
  2. 업무 범위와 책임 한정
    → “기타 지시 업무 포함”과 같은 모호한 표현 피하기
  3. 계약 해지 사유 명확화
    → 어느 쪽에서 해지할 수 있는지, 위약금 규정은 있는지
  4. 지연/불이행 시 책임 조항
    → 계약 위반 시 배상책임은 누가 지는지 명시
  5. 계약서 2부 작성 및 서명 날인
    → 서로 1부씩 보관하고, 이메일로 주고받은 것도 저장

✅ 실무 사례: 근로계약인 줄 알았지만 사실은 프리랜서?

사례 – 계약서만 프리랜서였던 A 씨
A 씨는 월 고정 급여, 출퇴근 시간 고정, 업무 지시를 받으며 일했지만
계약서에는 ‘프리랜서’로 표기되어 있었고, 퇴직금이 지급되지 않았습니다.

→ 노동청에 진정 → 실제로는 지휘·감독 관계가 뚜렷하므로
‘근로자성 인정’ → 퇴직금, 연차수당 지급 판결

📌 계약서의 형식보다 실제 근무 조건이 더 중요합니다.


✅ ‘이럴 땐 계약서를 다시 요청해야 합니다’

  • 단순히 이메일로 “이 조건으로 일해주세요”라고만 한 경우
  • 계약서 초안에 불리한 조항이 많을 때
  • 계약서가 구두로만 작성된 경우
  • 위약금, 지급일, 결과물 소유권 등이 불분명할 때

👉 상대방이 계약서 작성을 꺼리거나 명확한 설명을 피한다면, 그 자체가 리스크입니다.


✅ 마무리: 계약서는 단순한 문서가 아니다

프리랜서 계약이든 근로계약이든, 계약서는 내 권리를 보호하는 가장 확실한 수단입니다.
하지만 문서만 있다고 안심할 수는 없습니다.
그 안에 어떤 내용이 들어가 있고, 실제 업무 방식과 부합하는지가 중요합니다.

계약서를 작성할 때는, 반드시 다음을 체크하세요.

지급 조건 명확화
업무 범위 제한
책임 소재 분리
실제 일하는 방식과 일치하는지 검토


✅ 함께 보면 좋은 글

[프리랜서도 근로자일까? 근로계약과의 차이 총정리]